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엄마는 오늘도 소금땅에 물 뿌리러 간다

상품 정보
판매가 10800
할인판매가 10,800원 ( 10,800원 할인)
할인금액 총 할인금액 원
(모바일할인금액 원)
적립금 330원 (3%)
제휴적립금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4,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상품 추가설명 번역정보
구매방법
배송주기
정기배송 할인 save
  • 결제 시 : 할인
상품 옵션
배송
수량
down up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책소개


“고맙다
너를 키우는 일이 내게는 소금땅에 물 대는 일처럼 가망 없게 느껴졌는데,
엄마에게 네가 없었다면
싹이 틀 수 있는 땅 한 뼘 얻으려고 땀과 눈물을 아끼지 않는 농부의
사랑을 알 수 있었겠느냐”

자폐 아이와 함께 자라는 엄마 이야기


저자는 아들 요섭이를 어린이집에 맡긴 지 한 달이 지났을 무렵 아들에게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아들은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고, 선생님의 율동도 따라하지 않으며, 하루 종일 구석에만 있는 등 자폐 성향을 보였다. 모든 평온한 일상이 한순간에 무너져 내렸다. 대학병원에서는 원인도 알 수 없다 했다. 이후 저자는 직장을 그만두고 아들의 치료와 교육을 삶의 최우선 순위에 두었다.

몸은 계속 커가는데 생각은 네댓 살에 머물러 있는 아들과의 대화 자체는 매일 전쟁이었고, 엄마는 매번 패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 함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면 큰 소리로 중얼거리는 아들이 창피해 아들을 모르는 척하기도 하고, 드러누워 악을 쓰고 버둥거려 중도에 차에서 끌고 내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아이에게 하루 종일 시달린 날은 정말이지 가출이라도 하고 싶지만, 아무도 아이를 반겨 주지 않고 좋아해 주지 않을까 봐 노심초사하며 애증의 감정에 힘겨워하는 엄마…. 책에는 날마다 자기 안의 어둠과 마주해야 하는 이 같은 심정이 진솔하게 담겨 있다.

말이 통하지 않는 점, 전혀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점, 육체적인 고단함과 생활의 쪼들림보다 더 힘들었던 점은, 핏줄로 이어져 있는 가족임에도 사소한 일상 하나하나에 울고 웃으며 공감대를 공유해 갈 수 없는 점이라 저자는 고백한다. 이 절벽과 같은 상황 앞에서 저자는 여러 질문과 마주하게 되면서 차츰 자신을 둘러싼 껍질을 깨나가기 시작한다.

‘심신이 온전하지 못한 사람을 깔보고 경멸하는 마음은 어디서 비롯되는 걸까’, ‘왜 사람들은 장애를 경멸하고 두려워할까’, ‘내가 무슨 잘못을 했기에 이런 일이 일어난 걸까’ 이러한 질문들에 답을 찾아가면서 자신의 유한함, 연약함, 한계를 인정하고 삶을 끌어안는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이웃과 세상을 향해 마음의 문을 열어 간다.


목차


프롤로그 6

애벌레의 삶
동네 바보 형 13 그날 18 위기 탈출 넘버 원 26 조기교실 이야기 37 돛대도 아니 달고 44 이름을 불러 주세요 48 피켓을 들어라 52 7번 방의 선물 58 우리 집은 날마다 시트콤 63 별난 식성 I 67 별난 식성 II 73 말, 말, 말 77 사춘기 82 결핍에 대하여 89 장가들고 싶은 아들 96

애벌레에서 고치로
사랑, 그 놈 105 거울 앞으로 110 누이들에게 꽃을 116 부끄러운 고백 하나 122 옷 복 126 젖을 주는 엄마, 꿀을 주는 엄마 130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136 나의 대중교통 이용기 141 체념을 넘어서 146 공감 없음은 너의 아픔 151 그럼에도 삶에 대해 ‘예’라고 말하려네 157 눈물 164

고치에서 나비로
나도 언니가 있었으면 좋겠다 171 기쁨과 슬픔은 징검돌 177 카드로 만든 집 184 상상력은 힘이 세다 189 다른 별에 사는 사람 195 계시의 순간 I 199 계시의 순간 II 204 ‘장애인’이란 말 ?감춤과 드러냄 209 핸디캡 215 마음의 밥, 육신의 밥 223 8년 전 어느 날의 일기 231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236

에필로그 240


책속으로


언제부터인가, 아이와 다툰 뒤에는 무작정 달리러 나가는 버릇이 들었다. (중략) 어떤 날, 달리는 도중 차가운 비를 온몸에 맞고 집에 오니 아들이 자기를 미워하지 말라고 애원하다시피 한다. 엄마를 울리기까지 괴롭혀 놓고, 막상 엄마가 집을 나가니 버림받을까 봐 겁이 났던 걸까. 힘센 팔로 엄마 목을 끌어안으며 “날 미워하지 마세요” 하며 부르짖는다. 힘이 너무 세서 목이 졸려 온다. 숨이 턱 막힌다. 팔이 철봉같이 완강해서 풀 수가 없다.
“이거 놔…. 숨을 못 쉬겠어.”
낑낑거리며 풀려고 해도 요지부동이다. 화가 아직 안 풀렸지만, ‘화 안 났다’ ‘용서한다’ 말하지 않으면 울고 있는 아들에게 목 졸려 죽을 지경에 처한다. 멀리서 보면 코미디 같은 풍경이다.
---「사춘기」중에서

엄마, 엄마. 아이들이 보통 돌 전에 배워 불러 주는 정다운 말. 세상의 수많은 엄마들이 너무도 당연하게 여기는 말. 그러나 자폐 아들은 ‘엄마’란 명사를 문장의 주어로는 사용하지만 호칭으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내 아이 입에서는 좀처럼 들을 수 없는 말. 다정한 그 말, 엄마.
---「결핍에 대하여」중에서

저녁 밥상에서 이런 대화가 오간다.
“섭아, 오늘 하루 종일 뭘하고 지냈니?”
“글씨도 썼기 때문에.”
“글씨를 썼어?”
“어른이 될 때까지. 나중에 생각하는.”
“???”
“꿈꾸었던.”
“….”
“결혼식 초청장이기 때문에.”
“아, 그랬구나.”
외계어도 아니고 외국어도 아니다. 엄연히 우리나라 말이다. 다만, 내 아들만의 문법일 뿐이다. 만 19해 동안 이런 말을 들으니 이젠 통밥으로 조금이나마 통역이 가능하게 되었다. 저 녀석이 한 말의 뜻은 대충 이렇다. “결혼식 초청장을 쓰면서 지냈어요. 어른이 되면 꿈꾸던 결혼식을 할 거거든요.”
이 정도면 아주 용한 통역이라 본다…. 그런데 아들아, 10년 뒤 결혼식 청첩장을 벌써 써놓다니, 너무 성질 급한 거 아니니? ---「거울 앞에서」중에서

내가 우는데 네가 울지 않는다. 나는 웃는데 너는 웃지 않는다. 이것처럼 사람을 외롭게 하는 일이 또 있을까. 더구나 천륜으로 맺어진 사이라는 엄마와 아들이 감정을 공유하지 못함은 극도로 고독한 일이다. ---「공감 없음은 너의 아픔」중에서

어느 날, 아들 녀석은 수업 시간에 맞추어 들어가지 않아 선생님들을 당황하게 했다. 전자시계처럼 정확한 아이가 제 시간에 나타나지 않으니 놀랄 수밖에. 이리저리 아이를 찾아 나선 선생님들은 교실에서 멀지 않은 개천가 체육시설에서 바퀴를 빙빙 돌리며 운동하고 있는 녀석을 발견하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얘기를 들은 엄마들은 다들 나를 부러워했다.
“세상에, 수업을 땡땡이치다니… 상상도 못할 일이네요. 부러워라.”
자기만의 패턴이 확고한 자폐 성향의 아이가 어느 날 전혀 엉뚱한 짓을 하다니, 엄마로서 이렇게 기쁜 일이 또 있으랴. ---「기쁨과 슬픔은 징검돌」중에서

울다 지쳐 눈은 붓고 머리는 산발한 사람 곁에 살그머니 앉아 말을 걸어 본다. 수줍고 어눌한 한 사람이 손을 내민다. 가만히 눈을 들여다본다. 손을 꼭 잡으며 어깨를 끌어안으며 속삭인다. 당신도 아프군요. 혼자 울지 말고 같이 울어요.
---「에필로그」중에서


출판사 리뷰



“고맙다
너를 키우는 일이 내게는 소금땅에 물 대는 일처럼 가망 없게 느껴졌는데,
엄마에게 네가 없었다면
싹이 틀 수 있는 땅 한 뼘 얻으려고 땀과 눈물을 아끼지 않는 농부의
사랑을 알 수 있었겠느냐”

자폐 아이와 함께 자라는 엄마 이야기


나와 눈을 맞추지 않는 아이, 나를 엄마라 불러 주지 않는 아이…

지난 4월 ‘장애인을 날’을 맞아 여러 행사가 있었다. 2014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00명 중 5명이 장애인이다. 장애인은 더 이상 우리의 일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존재가 아니다. 중얼중얼 혼잣말하다가 손뼉을 치거나 갑자기 고함을 지르고, 다른 사람에게 불쑥 얼굴을 들이밀기도 하는, 이 세상과는 다른 차원에 살고 있는 듯한 사람. 버스나 지하철에서, 혹은 길을 가다가 한 번쯤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보기만 해도 조마조마하고 일면 두렵기까지 한 그가 내 가족 중 한 사람이라면 어떨까.

이 같은 모습은 ‘자폐’라는 장애를 지닌 이들에게서 볼 수 있는 성향 중 하나다. 자폐 아이들의 부모는 아이가 장애아라는 것을 아는 순간부터 아이와 함께 장애를 겪는다. 아이가 평생 극복하기 힘든 어려움을 겪으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그들은 낙심과 분노에 사로잡힌다. 그러한 마음 상태는 이내 육체 및 심리적 피폐로 이어지면서, 숱한 갈등과 부담, 고통을 이기지 못해 가정 해체, 경제적 파산, 장애 자녀 유기, 결국에는 삶을 포기하는 극단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내 사랑, 내 아픔, 내 아들 요섭이

저자는 아들 요섭이를 어린이집에 맡긴 지 한 달이 지났을 무렵 아들에게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아들은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고, 선생님의 율동도 따라하지 않으며, 하루 종일 구석에만 있는 등 자폐 성향을 보였다. 모든 평온한 일상이 한순간에 무너져 내렸다. 대학병원에서는 원인도 알 수 없다 했다. 이후 저자는 직장을 그만두고 아들의 치료와 교육을 삶의 최우선 순위에 두었다.

하지만 무엇 하나 수월하게 이루어진 것이 없었다.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 초등학교에 진학한 뒤에는 세상의 차가운 현실과도 대면해야 했다. 아들의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담임선생님, 일반 아동을 위한 교실을 늘리기 위해 도움반 교실을 양보해 달라는 학교측, 속만 탈 거라며 어머니회에는 참여할 필요 없다는 배려 아닌 배려….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엄마는 오늘도 소금땅에 물 뿌리러 간다
상품코드 P0000KKT
상품요약정보 최유진 저 | 홍성사
소비자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적립금 330원 (3%)
배송비 4,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1일 ~ 5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서비스문의 안내

상품사용후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